티스토리 뷰

사용자 분석하기

앱개발 방향성 수립 및 보고서작성

사용자 분석 결과를 통해 개발할 앱 디자인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하고 분석 결과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

사용자 시나리오(user scenario)

사용자 시나리오란 퍼소나를 주인공으로 인터랙션을 기술하는 방법으로 미래 시점의 상황에 서 사용자의 이용 상황이나 경험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도구이다. 제품/서비스의 특정한 정황에서 퍼소나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인터랙션을 어떻게 하는지를 이야기로 풀어봄으로써 미래 사용자의 경험을 예상해보는 것이다. 사용자 경험과 행동에 영 향을끼치는요소를파악하고기능에대한요구및기능들의우선순위를알수있으며, 사용 자가 그 기능들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사용자의 행태를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 시나리오의 구성 요소

(1)사용자(user)

  • 제품/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상의 대표 사용자인 퍼소나가 있어야 한다.

(2)작업(task)

  • 제품/서비스를 이용할 퍼소나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사건 이나 과업이 있어야 한다.

(3)정황(context)

  • 언제 어디에서 라는 배경을 설명해주는 정황, 또는 환경 정황(context)이 필요하다.
정황 시나리오(contextual scenario) 제작 및 요구사항 도출

1. 정황 시나리오

  • 정황 시나리오란 사용자가 제품/서비스를 사용하는 특정 환경에서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하 게 하는 과정을 이야기 형식으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2. 정황 시나리오 제작 목적

  • 정황 시나리오는 요구사항 정의에 사용되는 시나리오 초안을 말하며, 개발 후 사용자가 제 품/서비스를 사용하는 미래 특정 정황에서의 사용자와 시스템 동작에 초점을 맞춰 작성한다. 제품/서비스가 어떤 모습을 가져야 하는지 그려보는 단계로, 대표 사용자인 퍼소나 (persona) 관점에서 시나리오를 작성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3. 정황 시나리오 구성 요소

  • 퍼소나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와 범위 결정
    일반적으로 퍼소나는 5개 이하로 제작하기를 권장하고 있는데, 주요한 퍼소나를 중심으로 제품/서비스를 만들며 기타 퍼소나의 니즈도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한다. 퍼소나의 종류는 1순위 퍼소나(primary persona), 2순위 퍼소나(secondarypersona),추가 퍼소나(supplemental persona), 구매자 퍼소나(customer persona), 접대 받는 퍼소나(served persona), 부정적 퍼소나(negative persona)로 나눌 수 있다.
  • 주인공 퍼소나의 주요 행동
    주요한 1순위 퍼소나의 행동 패턴과 주요 특징을 중심으로 상세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4. 정황 시나리오 기능

  • 정황 시나리오는 사용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나 정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중요한 행동패턴을 서술해 사용자 경험을 가시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퍼소나의 과업과 목표에 필요한 콘셉트(concept)를 도출할 수 있으며 UI/UX 디자인 요구사 항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정황 시나리오를 통해 퍼소나의 유형을 분석하고 우 선순위에 따른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디자인 개발 콘셉트 및 방향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이슈를 파악할 수 있다.

5. 정황 시나리오 작성 시 유의사항

  • 가장 서술적인 이야기 형식으로 작성한다. 정황 시나리오의 범위는 넓고 깊이는 얕게 작성 하는데 퍼소나가 사용하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묘사는 피해야 하며, 세세하게 인터랙션을 설명하지 않아야 한다.

6. 요구사항 도출

  • 퍼소나와 정황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요구사항을 도출함으로써 앱 UI/UX 디자인에 대한 방 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시나리오의 내용으로부터 관련 요구사항을 도출할 수 있으며 정황 시나리오 외에 사업적 요구나 이해관계자, 정보, 기능, 환경 등으로 부터 요구사항을 도출하기도 한다.
    요구사항 도출을 위해서는 정황 시나리오에 퍼소나가 어떻게 제품/서비스를 이해하고 있는 지, 제품/서비스는 어떻게 만들어져 있는지, 퍼소나는 어떻게 행동하는지가 표현되어 있어 야 한다.
댓글